조선건국2 [조선왕조실록 EP4] 조선의 개창 - 태조 이성계 삼봉 정도전과 급진개혁파 1392년(공양왕 4년)7월 12일 시중 배극렴은 왕대비를 찾아갔습니다. “지금 왕이 혼암하여 임금의 도리를 잃었고, 인심도 이미 떠나가서 사직과 백성의 주재자가 될 수 없으니 폐하기를 청합니다” 왕대비에게는 힘이 없었습니다. 배극렴의 청을 허락하여 공양왕은 폐위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교지를 남은이 공양왕에게 가지고 갔지요. 자신의 폐위 소식을 들은 공양왕은 땅에 엎드려 남은이 읽는 교지를 들었습니다. 내용을 들은 공양왕은 눈물을 흘리며 이렇게 말했다고 실록에서 말합니다. “내가 본디 임금이 되고 싶지 않았는데 여러 신하들이 나를 강제로 왕으로 세웠습니다. 내가 성품이 불민하여 사기를 알지 못하니 어찌 신하의 심정을 거스른 일이 없겠습니까” 이렇게 공양왕은 4년의 즉위 기간을 뒤로 하고 폐위되어 원주로 .. 2023. 11. 30. 이성계와 신진사대부- 조선의 건국 태조 이성계는 지금의 함경도 지방에 동북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이자춘이었습니다. 이자춘 집안은 고려 무신정변의 주역이었던 이의방의 후손이었습니다. 이의방이 암살당하고 그의 가족은 전주로 내려가 살았습니다. 그런데 이자춘의 증조부인 이안사가 동분면으로 이주를 결정하여 온 가족이 이동했습니다. 이안사가 몽골군에 투항한 후 원나라 관직을 지내면서 지역 토호로 군립했습니다. 원나라로 이주한 후에 그의 집안은 대대로 승승장구했습니다. 얻게 된 지위를 대대로 세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자춘 대에 이르러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수복할 때 큰 콩을 세우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이성계의 집안은 다시 고려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이성계의 아버지가 죽은 후 이성계는 자신의 세력을 구축하기 .. 2023. 7. 11. 이전 1 다음